반응형 배우자출산휴가3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120일 이내 꼭 써야 할까?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10일에서 20일로 확대되었습니다.그런데 단순히 20일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청구’ 기준에서 ‘사용’ 기준으로 바뀌었습니다.기존에는 '90일 이내에 출산휴가 청구만 하면 됐지만', 이제는 '120일 이내에 20일 모두 사용해야 휴가로 인정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 개정법의 차이와 실무에서 놓치기 쉬운 포인트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출산휴가 120일의 '사용기한'이란 무엇인가요?기존에는 ‘청구기한 90일’만 지키면 휴가를 나중에 쓰더라도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은 '출산 후 120일 이내에 20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즉, 120일이 지나면 남은 휴가를 둘러도 휴가 자체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5월 10일 아이가 태어났.. 2025. 7. 22. 아빠육아? 출산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단축 내 아이를 만나는 것은 축복이지만, 엄마도, 아빠도 체력적으로 많이 힘드시죠? 요즘은 아빠들도 출산 준비부터 육아까지 정말 고생 많잖아요. 그래서 나라에서 아빠들을 위해 챙겨주는 혜택도 진짜 많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아주 쉽게 정리해볼게요. 배우자 출산휴가아내가 출산하면 남편은 당당하게 20일 유급휴가를 쓸 수 있어요. 물론 월급도 그대로 받으면서요!(주말, 공휴일은 제외하고 근무일만 계산된다는 점 참고)대상 : 아내가 출산한 근로자(남편)기간 : 20일 (유급)사용기한 : 출산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모두 사용 완료분할 : 최대 4번(3회 분할) 나눠서 사용 가능급여는?중소기업(우선지원 대상기업)에 다니면 고용센터에서 통상임금 10.. 2025. 7. 16.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2025년 버전 혹시 아내(배우자)가 곧 아기를 낳으시나요?만약 그러시다면 얼마나 기다려지고, 기대가 되시겠어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궁금한 것도 많으실 것 같아요. “출산휴가 쓰면 월급은 어떻게 나오지?”“중소기업 다니는데 국가에서 주는 돈은 언제, 얼마 받는 거지?”지금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이번 글이 정말 도움이 될 거예요.1. 배우자 출산휴가, 얼마나 쉴 수 있나요? 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바뀌어서 배우자 출산휴가는 총 20일 전부 유급이에요.즉, 휴가를 가도 출근한 것처럼 월급을 100% 받는다는 뜻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는데, 배우자 출산휴가는 최대 3번까지 나눠 쓸 수 있어요. (그런데 출산일로부터 120일 안에 다 써야 해요.)상황에 따라 출산 전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계획적으로.. 2025. 7.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