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대디11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120일 이내 꼭 써야 할까?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10일에서 20일로 확대되었습니다.그런데 단순히 20일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청구’ 기준에서 ‘사용’ 기준으로 바뀌었습니다.기존에는 '90일 이내에 출산휴가 청구만 하면 됐지만', 이제는 '120일 이내에 20일 모두 사용해야 휴가로 인정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 개정법의 차이와 실무에서 놓치기 쉬운 포인트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출산휴가 120일의 '사용기한'이란 무엇인가요?기존에는 ‘청구기한 90일’만 지키면 휴가를 나중에 쓰더라도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은 '출산 후 120일 이내에 20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즉, 120일이 지나면 남은 휴가를 둘러도 휴가 자체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5월 10일 아이가 태어났.. 2025. 7. 22.
늘봄학교, 아이돌봄서비스 총 정리 혹시 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신가요? “우리 애 방과 후에 집에 혼자 두자니 불안하고, 학원만 보내자니 뭔가 부족해.”“아직 아이가 많이 어린데 저녁에 누가 좀 봐줬으면 좋겠는데, 믿고 맡길 데가 없어 걱정이야.” 맞벌이 부부, 혹은 혼자 아이를 키우는 한부모 가정이라면 더 크게 공감하실 거예요.특히 초등학교 들어가면 돌봄의 공백이 확 커지거든요.유치원처럼 아이를 종일 맡아 주지도 않고, 방과 후에는 집에 혼자 있어야 할 때도 많으니까요. 이럴 때 도움 되는 게 바로 늘봄학교와 아이돌봄서비스예요! 오늘은 이 두 가지를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 드릴게요.😊 🏫 늘봄학교란?늘봄학교는 말 그대로 '늘 봄처럼 포근하게 아이를 돌봐주는 학교'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정규수업 끝난 뒤에도 학교나 지역사회가 함께 .. 2025. 7. 15.
연장형 보육료 지원 정리(늦은 밤, 휴일 보육) 아이를 키우면서 엄마, 아빠들이 제일 고민되는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야근을 해야 해서 저녁 늦게까지 아이를 돌봐 줄 사람이 없거나, 혹은 휴일에 갑작스럽게 누군가에게 아이를 맡겨야 하는 상황이겠죠?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가정은 더욱 말할 것도 없이 고민이 많이 될 것이고요.그래서 오늘은 이런 부모님들의 걱정을 덜어줄 연장형 보육료 지원에 대해 아주 쉽게 풀어보려고 해요.이 글 하나면 저녁 늦게, 주말까지 어린이집을 보내야 할 때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게되실 겁니다. 💡 연장형 보육료가 뭐에요?간단히 말하면 늦은 시간이나 휴일에도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서비스에요.아이 맡기고 회사에서 야근해도 되고, 휴일에 부득이하게 일 나가도 안심할 수 있는 거죠. 👶 누가 이용할 수 있을까?기본.. 2025. 7. 15.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총 정리! 아이 키우는 집이라면 매달 들어가는 양육비가 정말 만만치 않죠.기저귀값부터 분유, 옷, 장난감, 병원비까지... 그런데 이걸 나라에서 꽤 든든하게 지원해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0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 받을 수 있는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에 대해 하나도 빠짐없이 정리해드릴게요.글 다 보고 나면 "이걸 왜 이제야 알았지?" 하실 수도 있어요. 그만큼 꿀같은 정보니까 꼭 끝까지 확인해보세요. 😊 🍼 부모급여, 이렇게 받을 수 있어요!먼저 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0~23개월)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 주어져요.현금으로 받는 돈이라서 어디에 쓰든 상관없다는 게 제일 큰 장점이에요.💰 0세 (12개월까지) : 가정에서 양육하면 월 100만원을 현금으로 받아요.💰 1세 (13~23.. 2025. 7. 15.
아빠가 꼭 알아야 할 배우자 출산휴가! 혹시 곧 아빠가 되시나요?“출산하면 회사에 휴가를 얼마나 말할 수 있지?”“내가 계약직인데도 출산휴가를 낼 수 있나?”이런 고민 하고 계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더 좋아졌거든요.얼마나,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딱 정리해드릴 테니 꼭 보고 가세요! 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배우자 출산휴가, 누가 얼마나 쓸 수 있는지휴가를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는지휴가를 나눠서도 쓸 수 있는지 누가 쓸 수 있나요?배우자가 출산을 하면 근무형태, 근속기간 상관없이 누구나 쓸 수 있어요.정규직, 계약직, 심지어 파견직이라도 다 똑같아요.즉, “나는 아직 3개월밖에 안 다녔는데…”, “난 계약직인데…” 이런 걱정은 안 해도 됩니다. 얼마나 쉴 수 있나요?2025년 2월 23.. 2025.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