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인복지4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덜 일해도 월급 그대로! 임신 중인데 하루 종일 서있어야 하거나, 앉아있어야 해서 힘들지 않으셨어요?몸도 무겁고 여기저기 아픈 데다가 일어나서 걷기도 힘든데, 회사에 가야해서 몸이 천근, 만근 힘든 적은 없으세요?이런 분들을 위해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 제도를 활용한다면 임신 초기(12주 이내)나 막달(32주 이후)에는 하루 2시간을 줄여서 근무할 수 있어요.게다가 월급도 깎여서 입금되지 않아요!! (사실 이게 가장 중요하죠)이 글 하나면 언제부터, 어떻게 신청하고, 무엇을 주의해야 할지 한 눈에 볼 수 있으니끝까지 살펴보시고 꼭 챙겨서 근무하세요! 😊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이 뭔가요?임신한 여성이 회사에서 하루 2시간 덜 일할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해주는 제도에요. 임신 12주 이내(초기) 또는.. 2025. 7. 13.
가족돌봄휴가 2025년 총 정리! 휴가는 직장인의 권리이지만, 휴가 이야기를 꺼내기에 괜히 눈치 보이실 때가 있죠?😅특히 부모님이나 아이가 아프거나, 갑자기 집안에 돌볼 일이 생겼을 때‘지금 쉰다고 하기에는 이 일, 저 일이 마음에 조금 걸리는데...’하면서 걱정이 되기도 하는데요.그럴 때 당당하게 쓸 수 있는 게 바로 가족돌봄휴가예요.이 글 하나면 언제, 어떻게, 얼마나 쓸 수 있는지 딱! 정리해드릴게요. 💡 가족돌봄휴가? 어떤 건가요?가족돌봄휴가는 이름 그대로조부모, 부모,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 자녀, 손자녀가 아프거나 다쳤거나,나이가 많이 들어 돌봄이 필요할 때 회사가 무조건 쉬게 해줘야 하는 휴가에요. 그리고 무급(월급은 안 줌)이지만법으로 보장된 제도라서 회사가 함부로 거부하기 어려워요. 📅 얼마나 쓸 수 있나요?연간.. 2025. 7. 12.
법으로 보장된 유산휴가, 사산휴가 정리 혹시 임신 중 유산이나 사산을 겪으셨나요?몸도 마음도 정말 너무 힘드시죠?(토닥토닥) 지금은 쉼이 필요하기 때문에,근로자는 '법으로 보장된 휴가와 급여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 두시는 것이 중요해요. 1. 유산·사산휴가 얼마나 쉴 수 있나요?유산이나 사산을 하면, 임신 몇 주차였는지에 따라 쉴 수 있는 휴가 일수가 달라요.그리고 중요한 건 유산·사산한 날부터 바로 휴가일을 계산한다는 점이에요.늦게 신청하면 그만큼 쉴 수 있는 날이 줄어들어요. 임신 기간휴가일수15주(105일) 이하10일16주 ~ 21주(106~147일)30일22주 ~ 27주(148~189일)60일28주(190일) 이상90일 2. 출산휴가 중 유산했을 땐?출산휴가(출산전후휴가)를 쓰는 중 유산을 해도, 유산·사산휴가는 별도로 또.. 2025. 7. 10.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2025년 버전 혹시 아내(배우자)가 곧 아기를 낳으시나요?만약 그러시다면 얼마나 기다려지고, 기대가 되시겠어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궁금한 것도 많으실 것 같아요. “출산휴가 쓰면 월급은 어떻게 나오지?”“중소기업 다니는데 국가에서 주는 돈은 언제, 얼마 받는 거지?”지금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이번 글이 정말 도움이 될 거예요.1. 배우자 출산휴가, 얼마나 쉴 수 있나요? 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바뀌어서 배우자 출산휴가는 총 20일 전부 유급이에요.즉, 휴가를 가도 출근한 것처럼 월급을 100% 받는다는 뜻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는데, 배우자 출산휴가는 최대 3번까지 나눠 쓸 수 있어요. (그런데 출산일로부터 120일 안에 다 써야 해요.)상황에 따라 출산 전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계획적으로.. 2025. 7.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