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인팁2

탄력근무제와 선택근무제, 뭐가 다를까? 최근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기업과 근로자 모두 ‘근로시간 유연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특히 탄력근무제와 선택근무제는 비슷해 보이지만 적용 방식과 법적 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 오늘은 두 제도의 차이와 각각의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탄력근무제란? 탄력근무제는 특정 기간 동안 근로시간을 평균하여 주 40시간을 맞추면, 어떤 주에는 더 길게, 어떤 주에는 더 짧게 근무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마감 주에는 48시간 근무하고, 다음 주에는 32시간 근무하는 식입니다. 주요 특징기간: 최대 6개월 단위(2020년 개정 근로기준법 기준)근로자 동의와 서면합의 필수일일 최대 근로시간 12시간 제한평균 주 40시간 준수 선택근무제란? 선택근무제는 근로자가 정해진 .. 2025. 8. 16.
출산휴가, 육아휴직, 대체인력으로 취업하기 출산휴가, 육아휴직, 병가 같은 사유로 회사에 잠시 빈 자리가 생길 때, 그 자리를 대신해 일하는 것을 대체인력 취업이라고 해요.단순히 빈자리를 채운다는 의미를 넘어서, 경력 쌓기와 재취업을 위한 좋은 디딤돌이 될 수 있답니다. 😊 특히 사회에 갓 발을 들인 사회초년생이 경력을 차곡차곡 쌓아갈 때나,경력이 한동안 끊겼던 경력단절 여성이 다시 일터에 나서려 할 때 딱 좋은 발판이 될 수 있답니다. 공공기관의 경우 커리어 관리가 유리하고, 민간기업도 대체인력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계약이 연장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요. 실제로 대체인력으로 취업한 사람의 약 30%가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계약이 연장됐다고 해요. 또 보통 인턴은 문서작업, 잔심부름 같은 단순 보조업무를 하는데, 대체인력은 실제 직무를 그.. 2025.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