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7

2025년 가족돌봄휴직 완벽 정리! 혹시 부모님이 아프시거나, 아이가 다쳐서 장기간 돌봐야 하는데,회사에 뭐라고 얘기해야 할지 고민되셨나요?“가족돌봄휴직”이라는 제도가 있어요.이 글을 다 읽으면, 언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똑 부러지게 아시게 될 거예요! 😊 1. 가족돌봄휴직이 뭐예요?가족돌봄휴직은 말 그대로 가족을 돌보기 위해 쓰는 무급휴직이에요.내가 쉬면서 부모님, 조부모님,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님, 자녀, 손자녀까지 돌볼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된 권리랍니다. 2. 얼마나 쉴 수 있나요?가족돌봄휴직은 1년에 최대 90일 쉴 수 있어요.나눠서도 쓸 수 있는데, 한 번 나눌 때는 최소 30일 이상 이어야 해요. ※ 참고로 가족돌봄휴직을 쓴 기간도 근속기간(호봉, 연차 등 산정)에 포함돼요. 다만 평균임금 계산에는 빠지니 월급·퇴.. 2025. 7. 11.
법으로 보장된 유산휴가, 사산휴가 정리 혹시 임신 중 유산이나 사산을 겪으셨나요?몸도 마음도 정말 너무 힘드시죠?(토닥토닥) 지금은 쉼이 필요하기 때문에,근로자는 '법으로 보장된 휴가와 급여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 두시는 것이 중요해요. 1. 유산·사산휴가 얼마나 쉴 수 있나요?유산이나 사산을 하면, 임신 몇 주차였는지에 따라 쉴 수 있는 휴가 일수가 달라요.그리고 중요한 건 유산·사산한 날부터 바로 휴가일을 계산한다는 점이에요.늦게 신청하면 그만큼 쉴 수 있는 날이 줄어들어요. 임신 기간휴가일수15주(105일) 이하10일16주 ~ 21주(106~147일)30일22주 ~ 27주(148~189일)60일28주(190일) 이상90일 2. 출산휴가 중 유산했을 땐?출산휴가(출산전후휴가)를 쓰는 중 유산을 해도, 유산·사산휴가는 별도로 또.. 2025. 7. 10.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2025년 버전 혹시 아내(배우자)가 곧 아기를 낳으시나요?만약 그러시다면 얼마나 기다려지고, 기대가 되시겠어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궁금한 것도 많으실 것 같아요. “출산휴가 쓰면 월급은 어떻게 나오지?”“중소기업 다니는데 국가에서 주는 돈은 언제, 얼마 받는 거지?”지금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이번 글이 정말 도움이 될 거예요.1. 배우자 출산휴가, 얼마나 쉴 수 있나요? 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바뀌어서 배우자 출산휴가는 총 20일 전부 유급이에요.즉, 휴가를 가도 출근한 것처럼 월급을 100% 받는다는 뜻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는데, 배우자 출산휴가는 최대 3번까지 나눠 쓸 수 있어요. (그런데 출산일로부터 120일 안에 다 써야 해요.)상황에 따라 출산 전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계획적으로.. 2025. 7. 10.
아빠가 꼭 알아야 할 배우자 출산휴가! 혹시 곧 아빠가 되시나요?“출산하면 회사에 휴가를 얼마나 말할 수 있지?”“내가 계약직인데도 출산휴가를 낼 수 있나?”이런 고민 하고 계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더 좋아졌거든요.얼마나,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딱 정리해드릴 테니 꼭 보고 가세요! 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배우자 출산휴가, 누가 얼마나 쓸 수 있는지휴가를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는지휴가를 나눠서도 쓸 수 있는지 누가 쓸 수 있나요?배우자가 출산을 하면 근무형태, 근속기간 상관없이 누구나 쓸 수 있어요.정규직, 계약직, 심지어 파견직이라도 다 똑같아요.즉, “나는 아직 3개월밖에 안 다녔는데…”, “난 계약직인데…” 이런 걱정은 안 해도 됩니다. 얼마나 쉴 수 있나요?2025년 2월 23.. 2025. 7. 9.
2025년 달라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혹시 요즘 이런 고민 하고 계신가요?"애가 아직 어려서 줄여서 일하고 싶은데, 언제까지 가능하지?""육아휴직은 이미 썼는데, 단축근무 더 할 수 있을까?"다행히 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바뀌어서 아이 키우는 직장인들이 훨씬 더 유리해졌어요.이제 자녀가 조금 더 커도 단축근무를 신청할 수 있고,육아휴직을 안 쓴 기간은 2배로 계산해서 단축근무로 쓸 수 있게 됐답니다. 이 글에서 바뀐 법을 딱! 정리해드릴 테니 놓치지 말고 꼭 챙겨가세요.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자녀 연령 기준 얼마나 늘어났는지육아휴직 안 쓴 기간을 2배로 어떻게 더 쓰는지이미 단축근무 쓰고 있는 사람은 어떻게 되는지 1. 자녀 나이 기준 더 올라갔어요예전에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까지만 단축근무를 신청할 수 있.. 2025. 7. 9.
육아휴직, 육아휴직급여, 2025년 버전 "육아휴직 이제 1년 6개월까지 쓸 수 있다는데 진짜야?"요즘 맘카페, 회사 동기들이 이런 얘기 많이 하던데 혹시 들으셨어요? 제도는 바뀌었는데 정작 '내가 해당되는지', '돈은 얼마나 나오는지' 헷갈리셨죠.저도 이번에 하나하나 다시 찾아보면서 정리했는데요. 이 글 보시는 분들도 헷갈림 없이 딱 이해하셨으면 좋겠어요.편하게 끝까지 읽고 가세요! 📌 목차육아휴직 6개월 더 쓸 수 있는 조건바뀐 육아휴직 급여, 어디까지 받을까?실제 사례로 쉽게 보기알아두면 좋은 팁육아휴직 6개월 더 쓸 수 있는 조건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개정되면서 육아휴직을 최대 1년 6개월(18개월)까지 쓸 수 있게 됐어요.원래는 자녀 1명당 부모 각각 1년(12개월)이 기본이었는데, 이제 조건을 만족하면 6개월을 더 받을 수.. 2025.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