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면서 엄마, 아빠들이 제일 고민되는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야근을 해야 해서 저녁 늦게까지 아이를 돌봐 줄 사람이 없거나, 혹은 휴일에 갑작스럽게 누군가에게 아이를 맡겨야 하는 상황이겠죠?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가정은 더욱 말할 것도 없이 고민이 많이 될 것이고요.
그래서 오늘은 이런 부모님들의 걱정을 덜어줄 연장형 보육료 지원에 대해 아주 쉽게 풀어보려고 해요.
이 글 하나면 저녁 늦게, 주말까지 어린이집을 보내야 할 때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게되실 겁니다.

💡 연장형 보육료가 뭐에요?
간단히 말하면 늦은 시간이나 휴일에도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서비스에요.
아이 맡기고 회사에서 야근해도 되고, 휴일에 부득이하게 일 나가도 안심할 수 있는 거죠.
👶 누가 이용할 수 있을까?
기본적으로 만 0세~5세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이가 이용할 수 있어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 0~2세 보육료 대상
- 3~5세 누리과정 보육료 대상
- 다문화 보육료, 장애아 보육료(취학 전)
등이 해당돼요.
추가로 12세 이하 초등학생 중에서도 법정저소득층과 장애아(복지카드 있는 경우)는 야간연장 보육료에 한해서 지원이 가능하답니다!
⏰ 언제까지 이용 가능할까요?
1) 야간연장 보육료
평일엔 밤 7시 30분~자정까지, 토요일엔 오후 3시 30분~자정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어요.
월 최대 60시간까지 지원되고요.
- 일반 아동은 시간당 4,000원
- 장애아는 시간당 5,000원씩 정부에서 지원이 나와요.
2) 야간 12시간 보육료
저녁 7시 30분부터 다음날 아침 7시 30분까지 꼬박 12시간 동안 아이를 맡길 수 있어요.
단, 주간에는 어린이집에 안 가고 야간만 이용하는 아이만 가능해요. (취학아동은 해당 안돼요.)
3) 24시간 보육료
아침 7시 30분부터 다음날 7시30분까지 풀로 24시간 아이를 맡길 수도 있는데요.
부모님이 야간 경제활동을 하거나 한 부모, 조손가정 같은 경우 신청할 수 있어요.
(주간+야간 모두 어린이집 보내야 할 만큼 돌봄이 필요한 경우)
※ 참고로 24시간 지정 어린이집에서만 가능하답니다!
4) 휴일(일요일, 공휴일) 보육료
휴일에도 아이를 맡길 수 있어요. (토요일은 제외)
- 오전 7시 30분~오후 7시 30분까지 이용 가능.
- 휴일엔 평소 보육료의 150%까지 지원이 돼요.
예를 들어서 정부가 일 보육료로 28만원을 지원한다면, 28만원 ÷ 26일 × 150% = 약 32,310원이 지원돼요.
(휴일에 지정된 어린이집은 100%까지만 지원)
📌 어떻게 신청하나요?
읍면동 주민센터에 직접 가서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 궁금하면 어디에 물어보죠?
- 아이사랑 헬프데스크 ☎ 1566-3232 (1번)
- 아이사랑보육포털 ☎ 1661-9361
- 교육부 민원전화 ☎ 02-6222-6060
✅ 한눈에 정리!
- 평일 야간 : 19:30~24:00
- 토요일 야간 : 15:30~24:00
- 야간12시간 : 19:30~익일 7:30 (주간에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아동)
- 24시간 : 7:30~익일 7:30 (야간근무 부모, 한부모 등)
- 휴일 : 7:30~19:30 (토요일 제외)
이제 늦게까지 근무해야 할 때, 혹은 휴일에 일 나가야 할 때도 꼼꼼히 지원방법을 챙겨보세요. 😊
정부에서 꽤 든든하게 지원해주니까요!
'임신, 출산, 육아기 노동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빠육아? 출산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단축 (0) | 2025.07.16 |
---|---|
늘봄학교, 아이돌봄서비스 총 정리 (0) | 2025.07.15 |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총 정리! (0) | 2025.07.15 |
보육료, 유아학비 2025년 총 정리 (0) | 2025.07.14 |
어린이집, 유치원 기초 개념 2025년 총 정리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