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출산, 육아기 노동법률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총 정리!

by 꿀팁-한입 2025. 7. 15.

아이 키우는 집이라면 매달 들어가는 양육비가 정말 만만치 않죠.

기저귀값부터 분유, 옷, 장난감, 병원비까지... 그런데 이걸 나라에서 꽤 든든하게 지원해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0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 받을 수 있는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에 대해 하나도 빠짐없이 정리해드릴게요.

글 다 보고 나면 "이걸 왜 이제야 알았지?" 하실 수도 있어요. 그만큼 꿀같은 정보니까 꼭 끝까지 확인해보세요. 😊

 

🍼 부모급여, 이렇게 받을 수 있어요!

먼저 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0~23개월)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 주어져요.

현금으로 받는 돈이라서 어디에 쓰든 상관없다는 게 제일 큰 장점이에요.

  • 💰 0세 (12개월까지) : 가정에서 양육하면 월 100만원을 현금으로 받아요.
  • 💰 1세 (13~23개월) : 가정에서 키우면 월 50만원을 현금으로 받아요.

만약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어떻게 되냐고요?

  • 👶 0세 : 보육료 전액(54만원)은 나라에서 어린이집에 직접 지원하고, 엄마, 아빠에게 추가로 46만원을 현금으로 받아요.
  • 👶 1세 : 보육료 전액(51.4만원) 지원 + 엄마, 아빠에게 2.5만원 현금 지급

생각보다 지원이 크죠?

그래서 많은 부모님들이 “가정에서 키우는 게 더 이득인가? 어린이집이 낫나?” 고민하곤 한답니다.

 

✅ 신청은 이렇게 해요

인터넷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을 하시거나, 동네 주민센터에서 신청하면 돼요.

 

🏠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 안 다닐 때 받는 돈!

0~23개월 아가는 부모급여로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 앞서 말씀드렸죠?

그 이후 24개월~86개월 미만(초등학교 입학 전 2월까지) 아이를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안 보내고 집에서 돌보면 받을 수 있는 게 바로 가정양육수당이에요. 

 

가정양육수당 월 1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어요.

참고로 장애아동과 농어촌 거주 아동은 좀 더 많이 지급돼요. 장애아동은 월 10~20만원, 농어촌 아동은 월 10~15.6만원까지 받을 수 있답니다.

 

📌 신청은 똑같이

가정양육수당도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신청하면 돼요.

복지로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한 뒤 '양육수당(가정양육)'으로 접속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아동수당은 무조건 챙기세요!

아동수당은 부모님이 소득에 관계없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에요.

만 8세 미만(취학 전까지) 모든 아이가 월 1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매달 꼬박꼬박 통장에 들어오는데, 이 돈은 아이 이름으로 저축해주시거나 나중에 필요한 곳에 쓰면 좋겠죠?

 

📝 알아두면 좋은 팁!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 모두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웬만하면 엄마, 아빠가 조금 더 신경써서 꼼꼼히 챙기는 것이 좋은데,

만약 중간에 어린이집, 유치원, 아이돌봄 같은 것을 이용했다가 다시 아이를 집에서 돌보고 싶으시다면 ‘변경신청’을 꼭 해야 해요.

  • 🔄 예를 들어 보육료, 유아학비 받다가 ➔ 가정양육수당으로 바꾸려면 신청해야 함.
  • 📅 신청일이 15일 이전이면 ➔ 신청 월부터 변경된 수당 지급.
  • 📅 16일 이후면 ➔ 다음 달부터 변경된 수당 지급.

또 종일제로 아이돌봄을 받다가 종료하고 양육수당을 받으려고 해도 변경신청을 꼭 해야 해당 달부터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어요.

이 내용을 모르고 있거나 깜박 잊어서 몇 만원~수십 만원 놓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 마무리 한 마디

한 사람을 키우는 것은 책임질 것도 많지만, 정말 돈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에요.

그렇지만 이렇게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돈만 잘 챙겨도 한 달에 몇 십만원은 확 줄어 들 수 있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이런 꿀팁과 기초 정보를 계속 알려드릴 테니, 똑똑하게 지원금 다 챙겨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