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맘13 육아기 단축근로자, 직장내괴롭힘 사례 육아기 단축근로자는 법적으로 보호받는 대상이지만, 현실에서는 고용주와의 갈등 속에 방치되거나 불이익을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 사례처럼 원거리 배치, 부당한 업무 분장, 고정근무 불허 등은 실제 직장 내 괴롭힘 및 부당전직으로 간주될 수 있는 사안입니다. [사례] 저는 현재 두 자녀를 양육하며 육아기 단축근로 제도를 이용하고 있는 근로자입니다.2024년 3월 복직 당시, 원래 근무하던 가까운 사업장에는 더 이상 자리가 없다는 이유로 회사는 저를 하루 왕복 3시간이 소요되는 원거리 사업장에 배치했습니다. 단축근무 중임에도 긴 통근시간과 과중한 업무가 반복되자 결국 고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했는데요, 당시 회사는 이를 수용해 근거리 고정근무를 약속했고, 저는 이에 따라 진정을 취하하고 잠시 휴직을 선택했습.. 2025. 7. 24.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120일 이내 꼭 써야 할까?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10일에서 20일로 확대되었습니다.그런데 단순히 20일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청구’ 기준에서 ‘사용’ 기준으로 바뀌었습니다.기존에는 '90일 이내에 출산휴가 청구만 하면 됐지만', 이제는 '120일 이내에 20일 모두 사용해야 휴가로 인정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 개정법의 차이와 실무에서 놓치기 쉬운 포인트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출산휴가 120일의 '사용기한'이란 무엇인가요?기존에는 ‘청구기한 90일’만 지키면 휴가를 나중에 쓰더라도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은 '출산 후 120일 이내에 20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즉, 120일이 지나면 남은 휴가를 둘러도 휴가 자체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5월 10일 아이가 태어났.. 2025. 7. 22. 출산휴가 신청했더니 해고? 실제 충격 사례 “회사에 임신 사실을 알리고 출산휴가를 신청했더니 해고 통보를 받았다면?” 듣기만 해도 심장이 덜컥 내려앉죠.그런데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생생한 사례를 이야기해볼게요.사건의 시작 : 열심히 일한 그녀, 임신을 알리다이 사건의 주인공 A씨(여성)는 교육 콘텐츠를 만드는 중소기업에서 약 1년 6개월을 꼬박 근무하다가 잠시 퇴사 후, 다시 재입사해 성실히 일했어요. 회사는 매출을 올리라며 다른 팀원들과 함께 새 프로젝트를 맡겼고 그 덕분에 투자유치까지 성공했답니다.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A씨는 임신 사실을 알게 됐죠. 그리고 회사에 임신 사실을 말하면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을 하고 싶다”고 요청했습니다.회사의 답은 냉정했다회사 대표는 “우리 회사엔 그런 제도 없어, 알아볼게” 하고 돌아.. 2025. 7. 18. 늘봄학교, 아이돌봄서비스 총 정리 혹시 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신가요? “우리 애 방과 후에 집에 혼자 두자니 불안하고, 학원만 보내자니 뭔가 부족해.”“아직 아이가 많이 어린데 저녁에 누가 좀 봐줬으면 좋겠는데, 믿고 맡길 데가 없어 걱정이야.” 맞벌이 부부, 혹은 혼자 아이를 키우는 한부모 가정이라면 더 크게 공감하실 거예요.특히 초등학교 들어가면 돌봄의 공백이 확 커지거든요.유치원처럼 아이를 종일 맡아 주지도 않고, 방과 후에는 집에 혼자 있어야 할 때도 많으니까요. 이럴 때 도움 되는 게 바로 늘봄학교와 아이돌봄서비스예요! 오늘은 이 두 가지를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 드릴게요.😊 🏫 늘봄학교란?늘봄학교는 말 그대로 '늘 봄처럼 포근하게 아이를 돌봐주는 학교'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정규수업 끝난 뒤에도 학교나 지역사회가 함께 .. 2025. 7. 15. 연장형 보육료 지원 정리(늦은 밤, 휴일 보육) 아이를 키우면서 엄마, 아빠들이 제일 고민되는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야근을 해야 해서 저녁 늦게까지 아이를 돌봐 줄 사람이 없거나, 혹은 휴일에 갑작스럽게 누군가에게 아이를 맡겨야 하는 상황이겠죠?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가정은 더욱 말할 것도 없이 고민이 많이 될 것이고요.그래서 오늘은 이런 부모님들의 걱정을 덜어줄 연장형 보육료 지원에 대해 아주 쉽게 풀어보려고 해요.이 글 하나면 저녁 늦게, 주말까지 어린이집을 보내야 할 때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게되실 겁니다. 💡 연장형 보육료가 뭐에요?간단히 말하면 늦은 시간이나 휴일에도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서비스에요.아이 맡기고 회사에서 야근해도 되고, 휴일에 부득이하게 일 나가도 안심할 수 있는 거죠. 👶 누가 이용할 수 있을까?기본.. 2025. 7. 15.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총 정리! 아이 키우는 집이라면 매달 들어가는 양육비가 정말 만만치 않죠.기저귀값부터 분유, 옷, 장난감, 병원비까지... 그런데 이걸 나라에서 꽤 든든하게 지원해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0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 받을 수 있는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에 대해 하나도 빠짐없이 정리해드릴게요.글 다 보고 나면 "이걸 왜 이제야 알았지?" 하실 수도 있어요. 그만큼 꿀같은 정보니까 꼭 끝까지 확인해보세요. 😊 🍼 부모급여, 이렇게 받을 수 있어요!먼저 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0~23개월)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 주어져요.현금으로 받는 돈이라서 어디에 쓰든 상관없다는 게 제일 큰 장점이에요.💰 0세 (12개월까지) : 가정에서 양육하면 월 100만원을 현금으로 받아요.💰 1세 (13~23.. 2025. 7. 1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