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

아르바이트 계약서 필수 기재사항 5가지

by 꿀팁-한입 2025. 8. 14.
반응형

아르바이트를 시작할 때, 많은 분들이 그냥 구두 약속만 하고 일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근로계약서 없이 일하다가 임금 체불, 주휴수당 미지급, 근로시간 분쟁 등 불필요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근로계약서는 단순한 서류가 아니라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를 보호하는 법적 장치입니다.


1. 근로계약서 작성 의무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를 채용할 때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서면으로 교부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면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도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계약서를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2. 필수 기재사항 5가지

근로계약서에는 최소 다음 5가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1. 근무 장소 – 정확한 근무지 주소를 명시

2. 업무 내용 – 구체적인 업무 범위를 기재

3.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 출퇴근 시간, 주휴일, 휴게시간 명시

4. 임금 – 시급 또는 월급, 지급일, 지급 방법 기재

5. 계약기간 – 시작일과 종료일 명시



3. 계약서 미작성 시 문제점

계약서가 없으면 임금 체불, 주휴수당 미지급, 부당 해고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법적 대응이 어려워집니다.
특히, 구두 약속만 믿고 일하다가 "그런 말 한 적 없다"라는 상황이 생기면 근로자가 불리해집니다.



4. 아르바이트 계약서 작성 시 주의할 점


구체적으로 기재 : ‘시급 10,000원’처럼 금액을 명확히 적기

휴게시간 명시 : ‘휴게 1시간(12:00~13:00)’ 등 구체적으로 기재

계약서 사본 보관 : 근로자 본인이 반드시 한 부 보관



5. 마무리

아르바이트라도 근로계약서는 필수입니다.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누락된 사항이 있다면 작성 전에 반드시 요구하세요.
이것이 불필요한 분쟁을 막고,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Q&A


Q.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일을 시작했는데, 중간에 작성해도 되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작성 시점부터 효력이 발생하므로 이전 근무 조건은 증빙이 필요합니다.

Q. 구두 약속만으로도 법적 효력이 있나요?
A. 가능하지만, 입증이 어려워 분쟁 시 근로자가 불리합니다.

Q. 계약서에 불리한 조건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근로기준법에 위반되는 조항은 무효이며,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