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맘권리5

육아휴직, 서면 허용이 의무입니다! 2025년부터 사업주는 육아휴직을 꼭 '서면’으로 허용해야 하나요?육아휴직을 신청했는데 회사에서 명확한 답을 안 해준다? 이제 이런 걱정은 조금 덜어도 될 것 같습니다. 2025년부터 사업주는 노동자의 육아휴직 신청에 대해 반드시 '서면'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허용 사실을 통지해야 하는 의무가 생겼거든요. 바뀐 제도는 노동자 입장에서 육아휴직을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안전장치이기도 합니다. 그럼 어떤 식으로 바뀌는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지금부터 차근차근 정리해 볼게요. 1. 육아휴직 신청하면 사업주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개정 법령에 따라, 노동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사업주는 신청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서면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허용 사실을 통지해야.. 2025. 7. 20.
임신 근로시간 하루 2시간만? NO! 임신 중 하루 2시간만 단축? 정말 그래야 할까요?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는 '하루 2시간 단축'으로만 사용해야 한다고 알고 계셨다면, 그건 반쯤 맞는 얘기예요! 🤔 사실 법에는 그렇게 규정되어 있지만, 고용노동부의 행정해석에 따라 ‘노사 간 합의’가 있다면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예를 들어 출퇴근 거리가 멀거나 하루 2시간 덜 일해봤자 피로가 크게 줄지 않는 경우, 하루 통으로 쉬는 방식이 훨씬 나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정부도 사업장 상황에 맞춰서 유연하게 활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어요. 중요한 건 바로 "합의"입니다! 노사 합의만 있다면? 주 단위로 시간 모아쓰기 가능!2017년 고용노동부는 행정해석을 통해 "1일 2시간 단축은 법에서 정한 최소한의 기준일 뿐"이라고 밝혔어요. .. 2025. 7. 19.
임신 중 쉬운 업무로 변경 요청 가능할까? 전화 벨만 울려도 심장이 쿵... 누군가의 말 한마디에 감정이 요동치는 그런 날들, 특히 임신 중이라면 더 예민해지는 건 어쩔 수 없죠.하루 종일 고객 응대하면서 온갖 민원과 스트레스를 받아내야 하는 상황, 버티기만 하는 것이 능사일까요? 정답은 아니에요! 사실, 임신한 노동자라면 지금보다 '쉬운 업무'로 바꿔달라고 당당히 요청할 수 있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셨나요? 쉬운 근무 요청, 진짜 가능해요!우리나라 근로기준법 제74조 제5항에는 “임신 중의 여성 근로자가 쉬운 종류의 근로로 전환을 요구할 경우 사용자는 이를 수용해야 한다”라고 딱! 명시되어 있어요. 여기서 ‘쉬운 근로’란 단순히 몸을 덜 쓰는 것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정신적 스트레스가 적고 부담이 덜한 업무를 포함하죠. 예를 들어, 고객.. 2025. 7. 19.
5인미만회사, 출산휴가, 육아휴직 거부 안돼요 “우리 회사는 5인 미만이라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못 써요.”혹시 회사에서 이런 불합리한 말을 들으신 적 있나요?오늘은 진짜 있었던 사건을 통해서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출산휴가·육아휴직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정리해서 말씀드릴게요!임신 사실 알리자 돌아온 건 사직 강요이 사건의 주인공은 3년 동안 한 5인 미만 소규모 회사에서 상품개발 업무를 성실히 해온 직원 B씨였습니다.그런데 임신 사실을 회사에 알리자, 사장님은 바로 “개인사유로 퇴사하라”며 사직을 강요했대요.당연히 B씨는 “저 퇴사 의사 없고 계속 일하겠습니다” 하고 명확히 의사를 밝혔죠.내용증명까지 보냈지만...퇴사를 강요받은 후 B씨는 고민 끝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신청서를 내용증명으로 보냈어요.이렇게 하면 '언제', '무슨 서류를 보냈는.. 2025. 7. 18.
엄마들을 위한 근무시간 보호제도 총 정리 혹시 임신 중이거나 막 출산한 지 얼마 안 되셨나요? 그럼 이 글이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예요.회사 다니면서도 아이를 위해 내 몸을 지킬 수 있는 법적 권리들이 있거든요. 오늘은 시간외 근로 금지, 야간·휴일근로 제한, 수유시간 보장까지엄마들을 위한 3가지 필수 제도만 쏙쏙 뽑아 쉽게 알려드릴게요. 💡 출산 후 1년까지, 시간외 근무는 안 해도 됩니다!먼저 출산 후 1년이 안 된 여성은 법적으로 무리하게 추가 근무(시간외 근무)를 할 필요가 없어요.회사에서 아무리 일이 몰려도, 단체협약(회사 노사간 약속)으로 정해놨다고 해도 1일 2시간, 1주 6시간, 1년 150시간을 넘게 야근·추가근무를 시키면 불법! 이를 어기면 회사(사업주)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해요. 그만큼 .. 2025.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