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동법18

근태관리 가이드: 휴일, 휴무일 차이와 헷갈리는 근로시간 사례 1. 근태관리란 무엇인가?근태관리는 근로자의 출퇴근, 휴게시간, 연장근로, 휴가 사용 내역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말합니다.이는 단순히 출퇴근 시간을 적는 것을 넘어,법정 근로시간 준수 여부 확인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 산정인사·급여·노무 관리의 기초 자료역할을 합니다.특히 주 52시간제가 도입된 이후,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제가 확산되면서 근태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2. 근로시간 관리에서 자주 헷갈리는 사례(1) 회식, 교육, 워크숍은 근로시간에 포함될까?근로시간 판단의 핵심 기준은 사용자의 지휘·감독 여부입니다.회식 : 일반적으로 업무 외 활동으로 간주되어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교육·워크숍 : 회사의 지시·승인 하에 진행되는 의무 교육이라면 근로시간으로 인정됩니다. 특히.. 2025. 8. 12.
포괄임금제 수당 미지급 이렇게 대응하세요 최근 A씨는 IT 개발직으로 정규직 근무 중 퇴사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포괄임금제 미고지와 초과근로 수당 미지급에 대한 문제를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입사 초기 어떤 설명도 없이 일방적으로 포괄임금제가 적용되었고, 연장·야간·주말근무에 대한 수당은 전혀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업무량은 많았지만 출퇴근 기록 시스템도 없던 탓에 소급해 증빙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지금 이 글을 보는 분들 중에서도 "퇴사 직전까지도 내가 얼마나 일했는지, 그 수당은 받을 수 있는지" 고민 중이신 분들이 계시다면, 지금 반드시 확인하셔야 할 중요한 내용입니다. 포괄임금제란 무엇인가?포괄임금제는 연장, 야간, 휴일근무에 대한 수당을 미리 기본급에 포함시켜 지급하는 급여체계를 말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포괄해서 지급한다'는 설명.. 2025. 8. 5.
2026년 최저임금 10,320원, 2.9% 인상! 2026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10,320원으로 확정되며, 2025년 대비 290원(2.9%) 인상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월 209시간 기준 월급은 2,156,880원이 되며, 주휴수당, 실업급여, 출산휴가급여 등 각종 제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최저임금제도란?최저임금제도는 근로자의 안정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가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입니다. 이는 최저임금법에 따라 강제되며, 1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한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위반 시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2026년 최저임금 요약항목2025년2026년증감시급10,030원10,320원290원일급 (8시간 기준)80,240원82,560원2,320원월급 (209시간 기준)2,096,270원2,156,.. 2025. 8. 5.
공휴일에 일했는데, 수당이나 대체휴무를 못 받았다고요? 카페나 베이커리 같은 서비스업에서 일하시는 분들 중"공휴일에도 일하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요?"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공휴일에 일한 것에 대해 수당이나 대체휴무 없이 지나가도 되는 건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공휴일 근무 시 수당 또는 대체휴무 지급 여부이미 지나간 공휴일 근무에 대한 권리법정 공휴일의 정확한 범위에 대해 정리해 드립니다.사례로 보는 질문A 씨는 카페 베이커리에서 근무 중입니다.입사할 당시 "서비스업이라 법정공휴일도 그냥 일하는 곳"이라는 설명을 들었는데요.최근에 주변에서 "공휴일에 근무하면 수당이나 대체휴무를 줘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회사는 다가오는 8월부터 공휴일에 근무하면 대체휴무를 주겠다고 하는데,그렇다면 지금까지 지난 2년간 공휴일에 일한 것.. 2025. 8. 5.
쓰레기 안 치웠다고 감봉 30만 원? 이건 부당징계일 수 있어요 “쓰레기 안 치웠다고 30만 원 감봉이요?”“경위서까지 강제로 쓰라는데, 도대체 이게 합법인가요?” A 씨는 최근 회사에서 정말 황당한 지시를 받았습니다. 업무 공간에서 청소 중 생긴 쓰레기를 마무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감봉 30만 원과 징계 경위서 작성을 요구받았죠. 업무상 실수라면 주의를 줄 수는 있겠지만, 이유도 명확하지 않은 채 감봉부터 강요하고 경위서를 내라는 건 너무 부당하게 느껴졌습니다. 과연 이 조치가 법적으로 정당한지, 경위서 작성을 거부해도 되는지 하나하나 확인해 보실까요? 감봉 30만 원, 과연 정당한 징계일까?감봉은 징계의 한 형태입니다. 하지만 다음의 3가지 요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정당한 징계로 인정됩니다.요건내용1. 사유의 정당성실제로 징계 사유에 해당하는지2. 양정의 적정성위반.. 2025. 8. 3.
주말 알바인데 평일 출근… 수당 1.5배 맞나요? “주말 알바인데, 평일에 하루 일했더니 1.5배 수당 받아야 하나요?”“평일이 법정공휴일이면 수당 더 받나요?” A 씨는 주말(토·일)만 일하는 주 16시간 단시간 시급제 근로자입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소정근로일이 토요일, 일요일로 명시되어 있고,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일하고 있어 근로기준법이 적용됩니다.그런데 최근 회사에서 평일(월~금)에 근무 요청을 받았고, 마침 근무일이 법정공휴일(예: 3.1절)과 겹치면서 수당 계산이 헷갈리기 시작했습니다.A 씨가 평일에 일하면 휴일근로수당으로 1.5배를 받아야 하는 건지, 법정공휴일까지 겹치면 2.5배를 받아야 하는 건지… 계산하려니 너무 어려워서 정확히 알고 싶어 졌습니다. 주말 근로자의 평일 근무 = 휴일근로 맞나요?주말만 근무하는 주 16시간 근로자에게 평일.. 2025.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