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률48 아빠가 꼭 알아야 할 배우자 출산휴가! 혹시 곧 아빠가 되시나요?“출산하면 회사에 휴가를 얼마나 말할 수 있지?”“내가 계약직인데도 출산휴가를 낼 수 있나?”이런 고민 하고 계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더 좋아졌거든요.얼마나,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딱 정리해드릴 테니 꼭 보고 가세요! 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배우자 출산휴가, 누가 얼마나 쓸 수 있는지휴가를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는지휴가를 나눠서도 쓸 수 있는지 누가 쓸 수 있나요?배우자가 출산을 하면 근무형태, 근속기간 상관없이 누구나 쓸 수 있어요.정규직, 계약직, 심지어 파견직이라도 다 똑같아요.즉, “나는 아직 3개월밖에 안 다녔는데…”, “난 계약직인데…” 이런 걱정은 안 해도 됩니다. 얼마나 쉴 수 있나요?2025년 2월 23.. 2025. 7. 9. 2025년 달라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혹시 요즘 이런 고민 하고 계신가요?"애가 아직 어려서 줄여서 일하고 싶은데, 언제까지 가능하지?""육아휴직은 이미 썼는데, 단축근무 더 할 수 있을까?"다행히 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바뀌어서 아이 키우는 직장인들이 훨씬 더 유리해졌어요.이제 자녀가 조금 더 커도 단축근무를 신청할 수 있고,육아휴직을 안 쓴 기간은 2배로 계산해서 단축근무로 쓸 수 있게 됐답니다. 이 글에서 바뀐 법을 딱! 정리해드릴 테니 놓치지 말고 꼭 챙겨가세요.이 글에서 알려드릴 내용자녀 연령 기준 얼마나 늘어났는지육아휴직 안 쓴 기간을 2배로 어떻게 더 쓰는지이미 단축근무 쓰고 있는 사람은 어떻게 되는지 1. 자녀 나이 기준 더 올라갔어요예전에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까지만 단축근무를 신청할 수 있.. 2025. 7. 9. 육아휴직, 육아휴직급여, 2025년 버전 "육아휴직 이제 1년 6개월까지 쓸 수 있다는데 진짜야?"요즘 맘카페, 회사 동기들이 이런 얘기 많이 하던데 혹시 들으셨어요? 제도는 바뀌었는데 정작 '내가 해당되는지', '돈은 얼마나 나오는지' 헷갈리셨죠.저도 이번에 하나하나 다시 찾아보면서 정리했는데요. 이 글 보시는 분들도 헷갈림 없이 딱 이해하셨으면 좋겠어요.편하게 끝까지 읽고 가세요! 📌 목차육아휴직 6개월 더 쓸 수 있는 조건바뀐 육아휴직 급여, 어디까지 받을까?실제 사례로 쉽게 보기알아두면 좋은 팁육아휴직 6개월 더 쓸 수 있는 조건2025년 2월 23일부터 법이 개정되면서 육아휴직을 최대 1년 6개월(18개월)까지 쓸 수 있게 됐어요.원래는 자녀 1명당 부모 각각 1년(12개월)이 기본이었는데, 이제 조건을 만족하면 6개월을 더 받을 수.. 2025. 7. 8. 난임치료 휴가, 달라진 점 2025년 총 정리! 2024년과 2025년에 남녀고용평등법과 고용보험법이 바뀌면서난임치료휴가와 비밀유지 의무가 크게 달라졌어요. 이제 난임치료휴가는 더 길어졌고, 고용보험에서 급여도 일부 지원해주니까 아이를 간절히 갖기 원하는 부부들은 하기 내용도 꼭 참고해서 제도를 사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난임치료, 이건 알아두세요!사업주가 꼭 알아야 할 사항난임치료, 이건 알아두세요! 1. 난임치료휴가 어디까지 쓸 수 있나? ‘난임치료’는 인공수정, 체외수정 같은 의학적 시술과 그 직후 안정기·휴식기까지 포함돼요.반면 체질 개선이나 배란유도 같은 사전 준비 단계는 포함되지 않아요.자칫 준비 단계까지 포함되는 것으로 혼동될 수 있으니 이 점은 꼭 참고하세요.2. 연간 6일, 최초 2일은 유급!2025년 2월부터 난임치료휴가는.. 2025. 7. 6. 출산전후휴가, 유산휴가, 사산휴가 정리 근로기준법과 고용보험법이 개정되어서 출산 전후 휴가, 유산/사산휴가 개선안이 2025년 2월 23일부터 시행 중이에요.그래서 지금은 미숙아를 출산하면 휴가 기간과 급여가 더 늘어났고, 임신 11주 이내 유산·사산휴가 기간도 기존보다 길어졌습니다.목차미숙아 출산 시 출산 전, 후 휴가 기간 및 급여 어떻게 바뀌었나유산·사산휴가 기간은 얼마나 늘어났나사용 예시와 주의할 점미숙아 출산 시 출산 전, 후 휴가 기간 및 급여 어떻게 바뀌었나 1) 휴가 기간이 늘어났어요! 2025년 2월부터 법이 바뀌어서 지금은 이렇게 적용되고 있어요.단태아: 출산일 전후로 총 90일 (예전과 동일)미숙아: 출산일 전후로 총 100일 (기존보다 10일 늘어남)다태아(쌍둥이 이상): 출산일 전후로 총 120일 (예전과 동일)미숙아는.. 2025. 7. 5. 임신기 근로시간단축, 2025년 달라진 점 2025년부터 달라진, 임신기 근로 시간 단축제도, 이 내용 몰라서 연차나 월급 손해를 보면 너무 억울해요! 안녕하세요.오늘은 임신기 근로 시간 단축제도와 연차 산정 방식을 쉽게 정리해 보려 합니다.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임신·출산 시기에 직장에 다니는 엄마, 아빠에게 더 유리해진 부분들이 생겼어요.사실 임신만 해도 신경 쓸 게 많은데, 회사에서 내 권리 하나하나 따지기 쉽지 않잖아요.그래서 이번 글에서 중요한 내용만 딱 정리해 드릴테니 꼭 챙겨보세요.몰라서 못 챙기면 연차, 급여 다 손해입니다.목차임신기 근로 시간 단축, 사용기간 어떻게 바뀌었나고위험 임신부는 전 기간 단축 가능고위험 임신부 질병코드 한눈에 보기연차 산정 방식, 임신기 단축도 출근으로 간주헷갈릴 수 있는 계산 예시 정리자주 물어보는 .. 2025. 7. 5.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