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6

엄마들을 위한 근무시간 보호제도 총 정리 혹시 임신 중이거나 막 출산한 지 얼마 안 되셨나요? 그럼 이 글이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예요.회사 다니면서도 아이를 위해 내 몸을 지킬 수 있는 법적 권리들이 있거든요. 오늘은 시간외 근로 금지, 야간·휴일근로 제한, 수유시간 보장까지엄마들을 위한 3가지 필수 제도만 쏙쏙 뽑아 쉽게 알려드릴게요. 💡 출산 후 1년까지, 시간외 근무는 안 해도 됩니다!먼저 출산 후 1년이 안 된 여성은 법적으로 무리하게 추가 근무(시간외 근무)를 할 필요가 없어요.회사에서 아무리 일이 몰려도, 단체협약(회사 노사간 약속)으로 정해놨다고 해도 1일 2시간, 1주 6시간, 1년 150시간을 넘게 야근·추가근무를 시키면 불법! 이를 어기면 회사(사업주)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해요. 그만큼 .. 2025. 7. 1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2025년 기준! 혹시 초등학생 이하 아이를 키우고 계신가요?그럼 꼭 알아두셔야 할 꿀팁이 바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에요.이 제도는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 자녀(입양 포함)를 둔 부모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제도랍니다. 쉽게 말해, 회사에 다니면서도 자녀 돌봄을 위해 근로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해주는 건데요.평소 주 40시간 일하시던 분들도 이 제도를 활용하면 주 5시간~25시간까지 근무 시간을 줄일 수 있어요.덕분에 학교 마치는 시간에 맞춰 아이를 데리러 갈 수도 있고, 아플 때 돌볼 수도 있으니 얼마나 마음이 놓이겠어요. 언제까지? 얼마나 줄일 수 있나요?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자녀 한 명당 최대 1년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그런데 여기서 더 대박인 게, 만약 육아휴직을 아직 쓰지 않았다면 그.. 2025. 7. 13.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덜 일해도 월급 그대로! 임신 중인데 하루 종일 서있어야 하거나, 앉아있어야 해서 힘들지 않으셨어요?몸도 무겁고 여기저기 아픈 데다가 일어나서 걷기도 힘든데, 회사에 가야해서 몸이 천근, 만근 힘든 적은 없으세요?이런 분들을 위해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 제도를 활용한다면 임신 초기(12주 이내)나 막달(32주 이후)에는 하루 2시간을 줄여서 근무할 수 있어요.게다가 월급도 깎여서 입금되지 않아요!! (사실 이게 가장 중요하죠)이 글 하나면 언제부터, 어떻게 신청하고, 무엇을 주의해야 할지 한 눈에 볼 수 있으니끝까지 살펴보시고 꼭 챙겨서 근무하세요! 😊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이 뭔가요?임신한 여성이 회사에서 하루 2시간 덜 일할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해주는 제도에요. 임신 12주 이내(초기) 또는.. 2025. 7. 13.
고용보험 없이도 출산하면 최대 150만원! 일을 하고 있는데도 고용보험에 가입이 안 되어 있어서출산휴가급여를 못 받을까 봐 걱정하고 있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요.아니면 아이에 포기하고 계신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런 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따로 출산급여를 주는 제도가 있어요.이 글에서 누가 받을 수 있는지, 얼마나 주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란?일을 하고는 있는데 고용보험에 가입이 안 돼 있거나,가입돼 있어도 기간이 짧아 출산휴가급여를 못 받는 분들 있죠?그런 여성분들에게 정부가 따로 출산급여를 주는 제도에요.유산이나 사산을 한 경우도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세요. 💰 얼마 받을 수 있나요?출산했을 때는 총 15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유산·사산 시 임신 주수에 따라 다름) 임신.. 2025. 7. 12.
가족돌봄휴가 2025년 총 정리! 휴가는 직장인의 권리이지만, 휴가 이야기를 꺼내기에 괜히 눈치 보이실 때가 있죠?😅특히 부모님이나 아이가 아프거나, 갑자기 집안에 돌볼 일이 생겼을 때‘지금 쉰다고 하기에는 이 일, 저 일이 마음에 조금 걸리는데...’하면서 걱정이 되기도 하는데요.그럴 때 당당하게 쓸 수 있는 게 바로 가족돌봄휴가예요.이 글 하나면 언제, 어떻게, 얼마나 쓸 수 있는지 딱! 정리해드릴게요. 💡 가족돌봄휴가? 어떤 건가요?가족돌봄휴가는 이름 그대로조부모, 부모,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 자녀, 손자녀가 아프거나 다쳤거나,나이가 많이 들어 돌봄이 필요할 때 회사가 무조건 쉬게 해줘야 하는 휴가에요. 그리고 무급(월급은 안 줌)이지만법으로 보장된 제도라서 회사가 함부로 거부하기 어려워요. 📅 얼마나 쓸 수 있나요?연간.. 2025. 7. 12.
2025년 가족돌봄휴직 완벽 정리! 혹시 부모님이 아프시거나, 아이가 다쳐서 장기간 돌봐야 하는데,회사에 뭐라고 얘기해야 할지 고민되셨나요?“가족돌봄휴직”이라는 제도가 있어요.이 글을 다 읽으면, 언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똑 부러지게 아시게 될 거예요! 😊 1. 가족돌봄휴직이 뭐예요?가족돌봄휴직은 말 그대로 가족을 돌보기 위해 쓰는 무급휴직이에요.내가 쉬면서 부모님, 조부모님,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님, 자녀, 손자녀까지 돌볼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된 권리랍니다. 2. 얼마나 쉴 수 있나요?가족돌봄휴직은 1년에 최대 90일 쉴 수 있어요.나눠서도 쓸 수 있는데, 한 번 나눌 때는 최소 30일 이상 이어야 해요. ※ 참고로 가족돌봄휴직을 쓴 기간도 근속기간(호봉, 연차 등 산정)에 포함돼요. 다만 평균임금 계산에는 빠지니 월급·퇴.. 2025. 7. 11.
반응형